대식가의 나라
우리 민족에겐 밥 먹을 기회가 있을 때면 일단 많이 먹어두는 식습관이 당연한 시절이 있었다. 먹을거리가 풍족하지 않았으니까.
1890년대 한양을 찾은 영국인 여행가 이사벨라 비숍은 ‘조선 사람들은 한 사람이 3~4인분을 먹어 치우고
3~4명이 앉으면 20~25개의 복숭아와 참외가 없어지는 건 다반사’라고 기록했다. 임진왜란 피란기 <쇄미록>에는 당시 성인 남자가
한 끼에 7홉(밥 5공기)이 넘는 양의 쌀을 먹었다는 기록도 있다. 하지만 춘궁기엔 풀뿌리나 소나무 껍질을 먹을 만큼 식사량이 적었다.
불규칙한 식사로 배앓이가 잦았던 이유다. 이런 흐름은 1960년 광고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생명을 살리는 물
의 탄생
대한제국이 설립되던 1897년 그해, 한의학에 정통했던 궁중 선전관 출신
민병호 선생이 동화약방을 설립하고 맨 처음 개발한 국산 양약 1호 활명수.
궁중 비방에 서양의학을 접목해 개발한 첫 번째 신약은 왜 하필 ‘생명을
살리는 물’이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불규칙한 식사 습관, 과식과 폭식이
잦았던 당시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급체와 토사곽란만으로도 목숨을 잃던
이가 많았기에 활명수는 시대가 가장 필요로 하는 양약이었고,
시대에 가장 적합한 브랜드 네임이었다.



대한민국 음식의 역사와 함께 흐르다
시대는 변해도 늘 그 자리에
10월 12일 대한제국이 설립됐고
고종 황제가 초대 황제로 등극했다.
일본에 의해 강제적으로 병합이 이뤄졌다.
사진은 순종친필교지인 한일병탄조약 문서.
하지만 순종은 한일병탄은 자신의 의사와
무관하게 이루어진 것이므로
폐기돼야 한다는 유서를 남겼다.
청산리 전투에서 독립군이 일본군에 승리했다.
사진은 전투에서 승전한 후 기념 촬영한 독립군의 모습이다.
윤봉길 의사는 일왕의 생일날,
행사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
상하이파견군 대장 등을 즉사시키는
사를 치르고 현장에서 체포되어 총살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연합군에 패하면서
한반도는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됐다.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 공산군이
남북군사분계선이던 38선 전역에 걸쳐
불법 남침함으로써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사진은 북한의 원산 물류창고가 폭파되는 모습.
5·16 군사정변 이후
군사정부가 종합적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1953년 휴전협정 이후
1971년 9월 20일 판문점에서
남북 간 첫 공식회담이 열렸다.
1988년 9월 17일부터
10월 2일까지 대한민국 서울에서
제24회 하계 올림픽이 열렸다.
1995년 서울시는 광복 50주년을 맞이해
동화약품 순화동 본사에 서울 연통부 기념비를 세웠다.
서울 연통부는 1919년 상해 임시정부가
설립된 후 국내와의 비밀 연락책 및
독립운동 자금 모금 역할을 했다.
서울 연통부의 총책임자는
민강 동화약방 초대 사장이었다.
3월 30일,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경부 고속철도 1단계 개통식
광복 70주년을 이틀 앞둔 8월 13일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은 대전지역
초중고 학생들이 태극기를 들고
애국지사 묘역으로 향하고 있다.
활명수,
넌 누구냐

-
생년월일
1897년 9월
-
나이
120세
-
출생지
서울
-
몸값 변화
1910년대 | 1930년대 | 1965년대 | 1976년대 | 1983년대 | 현재 |
---|---|---|---|---|---|
전 | 전 30ml | 원 50ml | 원 50ml | 원 50ml | 원 75ml |
현재 1만 8000원 수준 |
설렁탕 1그릇 가격과 동일 |
설렁탕 1그릇 60원 |
설렁탕 1그릇 500원 |
설렁탕 1그릇 1500원 |
설렁탕 1그릇 8000원 |
1910' | 1930' | 1965' | 1976' | 1983' | 현재 |